til

· Study/TIL
들어가며 오늘 알고리즘 문제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만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해설에도 시작부터 어려운 문제라고 하더라... 머리를 쥐어짜고 다른 수강생분들의 도움도 받아서 겨우 문제를 이해했지만 역시나 구현을 하질 못해서 해설을 봐야만 했다. 난 언제쯤 문제 하나를 스스로 풀 수 있게 될까... 뭐가 문제인걸까... 회의감이 드는 항해99 7일차. 오늘의 TIL은 스택의 개념의 정리와 오늘 푼 문제를 정리하고, 현재 하고 있는 고민인 앞으로의 항해99에 대해 작성해보고자 한다. 스택(Stack) 스택이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로,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순서는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이다. Stack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a pile of ob..
· Study/TIL
들어가며 오늘의 강의 내용은 '연결 리스트'였다. 예전에 자료구조 공부한다고 깔짝였던 때에 연결리스트 강의를 들어놓은 적이 있어서 개념은 어렵지 않게 이해했는데 직접 구현하는 부분에서 애를 많이 먹었다. 여러가지 연결리스트 메소드를 직접 구현해보려고 했는데 실패하기도 했고, 몇가지 에러도 마주쳤다. 오늘의 TIL도 어제와 같이 강의 개념과 문제 정리를 하고 추가로 에러코드 트러블 슈팅도 해보자! 배열과 연결리스트 배열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 중에 가장 빨리 접근할 수 있는 자료구조 처음 생성 시 공간을 미리 할당해야하고, 생성 이후에는 크기 수정이 불가능하다. 처음에 공간을 정해두므로 데이터를 추가/삭제하는 과정이 쉽지 않다. 연결리스트(Linked List)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
· Study/TIL
들어가며 2주차 알고리즘/코테 주차가 시작되었다. 알고리즘은 처음 공부하는데 아니나 다를까 되게 어렵고 힘들다.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했기에 정규트랙 대신 심화트랙을 들어온 건데 1일차부터 내가 진짜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들기 시작했다. 빨리 잘 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더 부담감이 크게 다가오는 것 같다. 알고리즘은 차근차근 단계별로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단기간 안에 일정 수준만큼 끌어올려야 한다고 한 문제를 몇시간이고 붙잡고 있어서 12시간도 부족한 기분이어서 공부방식을 효율적으로 바꿔야 앞으로 3주를 버틸 수 있을 것 같아서 매니저님과 면담을 진행했고 나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어느정도 찾았기에 오늘의 TIL은 알고리즘 주차에서 제공해준 강의와 과제를 정리하고, 공부방식을 어떻게 가져갈 지 ..
· Study/TIL
들어가며 프로젝트는 잘 진행되고 있었는데 파이참에서 지금까지 잘 쓰고 있었던 '저장 시 자동 재실행'기능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았다. 덕분에 거의 4시간동안 코드 한 줄을 작성할 때마다 수동으로 서버를 재실행해주고 있었는데 항해99 슬랙에 질문을 남겼더니 방법을 알려주셔서 겨우 해결했다. 오늘의 TIL은 Flask의 디버그 모드에 대해 트러블 슈팅을 적어보고자 한다! 트러블 슈팅 문제 1. 파이참에서 세이브했을 때 자동으로 서버가 재실행되지 않는 문제 파이참에서 서버를 open한 상태에서 코드를 수정하면 기존에는 자동으로 서버가 재실행이 됐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수동으로 서버 재실행을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해결 코드를 수정했을 때 자동으로 서버가 재실행..
· Study/TIL
들어가며 항해99 2일차의 날이 밝았다. 1일차에는 미니프로젝트 기획을 하고, figma로 와이어프레임을 짰는데 팀원 모두 처음하는 팀프로젝트여서 체계를 만드는 데에 어려움이 많았다. 서로 소통하고 맞춰가면서 점점 체계가 잡혀가는 모습을 보며 협업 감각을 익혀나가는 방법을 서서히 배워나가고 있다. 혼자 프로젝트를 할 때에는 모르는 부분을 파워 구글링으로 삽질했는데 팀원과 함께하니 혼자보다 확실히 수월하게 해결하게 된다. 오늘의 TIL은 트러블 슈팅와 깃허브를 이용해 체계를 잡아가는 과정을 적어보고자 한다! 트러블 슈팅 문제 1. Ajax 400 bad request에러 function category(tech_give) { alert(tech_give) $.ajax({ type: "GET", url: "..
· Study/TIL
들어가며 사전테스트가 끝나고 드디어 항해99에 승선하게 되었다. 학원은 처음이 아니지만 거의 100% 자기주도학습인 부트캠프를 하는건 처음이라 기대 반 설렘 반으로 시작했다. 항해99 시작한 후 들은 특강과 첫 팀프로젝트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TIL 특강 - 오시영 멘토님 TIL이란? Today I Learned의 줄임말으로 개발공부를 하면서 배운 것들을 그 날 정리하는 것이다. 기술적인 부분 외에도 내가 생각하기에 중요하다고 느끼는 점을 자유롭게 적어내려가는 일종의 '일기'같은 개념. TIL을 작성할 때 중요한 점은 내가 이걸 왜 배우고 있지? 를 생각하면서 작성해야한다. 그저 시키니까, 취업할 때 좋은 점수를 받으니까 쓰는 건 멀리봤을 때 도움이 되지 않는다. TIL 작성 팁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