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상황 지난 삽질로그에서 계속 고민하던 문제인 '왜 지연로딩을 설정했는데도 참조하고 있는 객체를 통째로 들고다니지?' 라는 물음에 대한 이유를 어느정도 파악한 것 같다. PostRestController.java @GetMapping("") public List getPosts() { List postsList = postService.getPosts(); return postsList; } PostService.java public List getPosts() { List posts = postRepository.findAllByOrderByCreatedAtDesc(); return posts; } Post.java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JsonIdentit..
Entity
문제상황 06/06일 TIL로 작성한 2번째 문제가 아직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아서 쓰는 삽질로그. [TIL] 06/06 항해99 25일차 - 과제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TIL] 06/06 항해99 25일차 - 과제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들어가며 오늘부터는 달성 목표에 우선순위를 정해두고 하나씩 해결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진행하고자한다. 확실히 하나씩 항목을 지워가면서 하니까 성취감도 들면서 내 페이스를 조절하기가 annajin.tistory.com 결국 stackoverflow 에러는 해결을 했지만 지연로딩으로 설정했을 때 해결이 되었어야하는게 아닌가? 라는 물음에서 시작된 순환참조 해결하는 삽질이다. + 지연로딩을 설정했음에도 참조하고 있는 객체를 전부 들고다니는 이유를 어느정도 파악한 것 같..
들어가며 주특기 주차가 시작되었다. JPA를 처음 사용해보는 거라서 삽질을 엄청나게 하느라고 따로 공부한 내용은 없었다. DAO와 DTO의 차이는 정리한 적이 있지만 오래 전 포스팅이라 내용이 부족한 것 같아 오늘의 TIL은 간단하게 JPA에서 사용하는 domain과 DTO의 차이점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개발지식] DAO / DTO(VO)란? [개발지식] DAO / DTO(VO)란?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4-25-dto-layer-scope/ DTO의 사용 범위에 대하여 1. DTO란? DTO(Data Transfer Object)란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Java Beans)입니다. 간략하게 D.. annaji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