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51yS8%2Fbtsz9lvtpYS%2FGaHzQFAK0jLZU84mKc85gK%2Fimg.jpg)
들어가며 WebClient는 RestTemplate의 대안으로서 급부상된 WebFlux의 라이브러리이다. Spring MVC에서도 지원하는 WebClient는 RestTemplate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이 `비동기 통신을 지원한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물론 그 외에도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지원한다는 점, 다양한 설정과 에러처리를 지원한다는 점 등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겠다. WebClient의 최대 장점인 비동기 통신을 지금까지 사용하기 어렵고 쓸 데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동기 방식을 고수해왔었는데 이번 회사 프로젝트를 하면서 비동기 통신이 필요해진 시점이 생겼다. 이번 기회에 WebClient의 비동기 통신을 구현해보았고 이번 포스팅의 주제로 삼아보고자 한다. 처음 비동기 통신을 구현해보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