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 Study/CS
들어가며 예전에 Petpular 프로젝트 때 사용해본 Spring WebClient에서 동기 & 비동기 / 블로킹 & 논블로킹의 개념이 등장했었다. WebClient는 논블로킹방식으로 작동하고 block() 메소드를 이용해서 블로킹방식으로 바꿔주는데, 이 부분에서 동기 & 비동기 / 블로킹 & 논블로킹 개념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고생을 했던 경험이 있었다. 앞으로의 삽질을 방지하기 위해 동기 & 비동기 / 블로킹 & 논블로킹 개념에 대해 스터디 하고자한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참조한 블로그의 서론을 보자. 동기와 비동기는 프로세스의 수행 순서 보장에 대한 매커니즘이고 블록킹과 논블록킹은 프로세스의 유휴 상태(제어권)에 대한 개념으로 완전한 별개의 개념이라는 것이다. 아무래도 동기와 블록킹, 비동기와 ..
· Study/WIL
들어가며 벌써 항해 3주차인데 알고리즘 주차는 2주차...? 항해 시작한 지는 얼마 안된거 같은데 알고리즘 주차 시작한 지는 한달이 훌쩍 넘은 것 같다. 그만큼 열심히 보낸 일주일이라는 말이겠지! 이번주 WIL도 여느때와 같이 지난 일주일 간 배운 내용을 간단히 복습하고, 회고록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트리 / 이진 트리 나무를 뒤집어 둔 모양으로 생긴 트리. 그래프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차이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트리는 순환 구조를 갖지 않는 그래프라는 점과 단방향 그래프라는 점, 단 하나의 부모 노드만 갖는다는 점이 그래프와 다르다. 이진 트리는 각 노드가 최대 두개의 자식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는 트리의 일종이다. [TIL] 05/23 항해99 13일차 - 트리, 이진 트리, 문제풀이 [TIL] 05/2..
· Study/TIL
들어가며 이진 탐색은 예전에 맛보기로 공부했던 적이 있었기도 하고 크게 어려운 개념이 아니라 이해하기 쉬웠다. 늘 말하듯이 구현은 다른 문제지만. 오늘의 TIL은 이진 탐색의 개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진 탐색 이진 탐색 알고리즘(binary search algorithm)은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의 위치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출처 - 위키백과 이진 탐색(Binary Search)은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중앙값을 기준으로 절반 씩 줄여나가면서 목표값을 찾아가는 알고리즘이다. 단, 이진 탐색을 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정렬되어 있지 않은 자료에서 이진 탐색을 한다고 하면, 중앙값 기준으로 좌/우가 무조건 작거나 크다고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진..
· Study/TIL
들어가며 TIL을 쓰려고 보니 새삼 벌써 항해99에 승선한 지 19일 밖에 지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체감상 알고리즘 주차가 시작된지 한달은 족히 된거같은데 아직 한주가 더 남았다니... 이제 슬슬 체력이 딸리기 시작했다. 최근 며칠간 TIL을 쓸 기력이 없어서 대충 쓴 느낌이 컸는데, 오늘도 아마 비슷할 것 같다. 이번 주 일요일에 푹 쉬어서 체력을 보충해야겠다. 넋두리는 이정도로 하고, 오늘의 TIL은 강의 진도에 맞게 퀵 정렬과 병합 정렬의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정렬 퀵 정렬 퀵정렬(Quick sort)은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O(n log n)이라는 빠른 속도로 정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퀵 정렬은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t)를 통해 정렬을 하게 되는데, 기준..
· Study/TIL
들어가며 알고리즘 2주차도 끝이 났다. 방향성도 어느정도 잡은 것 같고, 자신감도 많이 회복되었다. 주차의 마무리로 보는 테스트를 공부 시작한 지 2주만에 스스로 풀어냈다는 거에 굉장한 뿌듯함이 느껴져서 괜히 다른 문제를 스스로 풀어보려고 했다가 시간을 많이 보냈다...ㅎ 결국 못풀었긴 하지만. 오늘의 늦은 TIL은 간단하게 정렬 알고리즘들의 개념을 쓰고, 시험으로 푼 문제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정렬 파이썬에서 정렬은 sort() 함수나 sorted() 함수로 배열이나 리스트 등등의 자료형을 아주 간단하게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나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래에서 정리할 정렬 알고리즘을 굳이 알아둬야하나?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함수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고, 어떻게 코드로 구현되어있..
· Study/TIL
들어가며 나에게 맞는 알고리즘 공부 방법을 찾고나니 한결 마음이 가벼워졌다. 또, 오늘은 문제가 쉬웠는지 직접 문제 풀이에 성공해서 꽤나 뿌듯했다. 이 기쁜 마음을 안고, 오늘의 TIL은 힙의 개념과 문제풀이, 새로 알게 된 개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힙 힙(heap)은 최댓값과 최솟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고안된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이다. 어떤 정수형 배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9, 8, 7, 6, 5, 4, 3, 2, 1] 이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꺼내오려면 요소 하나씩을 검색해서 찾아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시간복잡도는 O(n)이 된다. 해당 배열을 힙으로 구현한다면 O(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게 된다. 위에서 말했듯이 힙은 완전 이진 트리로 이루어져있기 ..
· Study/TIL
들어가며 갑자기 잘 쓰던 들어가며에 뭘 써야할 지 헷갈리기 시작했다. 원래 아무말이나 적었던거 같은데... 오늘도 열심히 잠을 잤으니 그 업보를 지금의 나에게 지우기로 하고 오늘의 TIL은 이진 탐색트리의 개념과 문제 풀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진 탐색 트리 이진 탐색 트리(BST, Binary Search Tree)란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연결리스트(Linked list)의 아이디어를 결합한 자료구조의 일종이다. 커리큘럼상 뒤에 배우게 될 이진탐색의 경우 소요되는 시간 복잡도는 O(log n)으로 빠르지만 삽입, 삭제가 불가능하다. 반면 연결리스트의 경우 삽입, 삭제에 필요한 시간 복잡도는 O(1)로 효율적이지만 탐색하는 데에는 O(n)가 소요된다. 이진 탐색 트리는 이진 탐색의 효..
· Study/TIL
들어가며 쌓인 스트레스 + 컨디션 + 부족한 수면시간 콤보로 하루종일 잠만 잤다. 그 업보로 새벽에 TIL 쓰기 시작하기 형벌을 받게 됐다ㅎ 오늘은 몇시에 잘 수 있을까... 오늘의 TIL은 오늘 배운 트리의 개념과 구현문제를 정리하도록 해보자! 트리 트리란? 뿌리와 가지로 구성되어 거꾸로 세워놓은 나무처럼 보이는 계층형 비선형 자료구조. 한 가족의 계보를 나타내는 족보나 회사 조직도 같은 것들도 트리 구조 형태로 되어 있다. 트리에서 사용하는 용어 기본적으로 그래프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트리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먼저 알고 들어가보자 Node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Root Node 트리 맨 위에 있는 노드 Level 최상위 노드를 Level 0으로 하였을 때, 하위 Branch로 연결된..
· Study/WIL
들어가며 항해99의 2주차도 끝이 났다. 알고리즘 난이도가 하루하루 어려워지면서 진도를 따라가기가 벅차 방향성이나 내 공부방법이 맞는 지, 내가 바라는게 뭔지에 대한 고민을 정말 많이 하게 된 일주일이었다. 수강생분들과 얘기도 나누고, 주위 사람들에게 조언도 들으며 길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괜시리 뿌듯해지기도 한다. 이번주 WIL은 지난 일주일 간 배운 내용을 간단히 복습하고, 회고록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연결 리스트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TIL] 05/14 항해99 6일 차 - 연결리스트, 트러블슈팅, 문제풀이 [TIL] 05/14 항해99 6일 차 - 연결리스트, 트러블슈팅, 문제풀이 들어가며 오늘의 강의 내용은 '연..
· Study/TIL
들어가며 점점 어려워지는 난이도와 떨어지는 집중력 때문에 진도를 많이 나가지 못했다. 오늘의 TIL은 크게 개념적으로 정리 할 내용이 많지 않았으니 CS스터디 중 다루고 싶었던 내용과 백트래킹으로 풀 수 있는 문제를 공부한 내용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컴퓨터 보안 보안 공격 보안 공격하면 많은 사람들이 'DDoS 공격'을 떠올릴 것이다. 나도 정확한 시기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한때 국내에서 DDos 공격이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어서 알게 됐던 것 같다. 또, 한동안 큰 문제로 부상했던 공격을 꼽으라면 단연 '랜섬웨어'를 말할 수 있다. 그 전까지는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모를 가능성이 큰 공격이었는데 일반인도 감염되는 사례가 속출하자 뉴스에 본격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하면서 이젠 랜섬웨어를 모르..
반응형
Anna-Jin
'Study'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